필름은 광선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필름에 상이 기록되는 것은 광선과 필름의 할로겐화 은 결정체 사이의 반응작용 때문이다.
젤라틴 유제에 분포되어 있는 결정체들은 은과 브롬(bromine), 요오드(iodine), 염소(chlorine) 같은 할로겐의 합성물이다.
만약 결정체가 어떤 불규칙성도 없는 완벽한 구조라면 광선에 반응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상수의 전기를 띠고 있는 은 이온들은 그 구조에 포함되어 있어서, 광선이 유제에 도달했을 때 움직이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을 형성한다. 결정체에는 황화은(silver sulfide)과 같은 불순물들도 들어 있는데 이들이 빛 에너지를 포착하는 역할을 한다.
감광입자라고 불리는 불순물과 자유롭게 이동하는 은 이온들이 결정체가 광선을 받았을 때 전기를 띠지 않는 작은 금속 은(metallic silver) 원자 덩어리를 형성한다.
현미경으로도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이 금속 은 덩어리가 바로 잠상(latent image)의 시작이다.
현상약품의 작용으로 이 잠상 입자들이 농도를 만들어 내는데, 이것이 가시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데 필요한 금속 은이다.
크로모제닉 필름(chromogenic film)은 일반 할로겐화 은 필름과 달리 유제 안에 할로겐화은 뿐만 아니라 염료 커플러(coupler)가 포함되어 있다.
현상과정에서 광선에 노출된 은이 있으면 노출 정도에 비례해서 염료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원래의 은은 씻겨 나가고 염료만 남아서 이미지를 형성한다.
검정 염료만 만드는이는 일부 흑백 필름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컬러 사진재료들은 최종 컬러 이미지를 만드는 데 크로모제닉 현상방식을 이용한다.
(1) 특성곡선
필름에 더 많은 광선이 들어올수록 현상된 네거티브에 은(또는 염료) 농도가 더 짙어진다.
위에 있는 카우보이 사진에서 손, 셔츠, 얼굴, 그리고 모자가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광선을 반사한다.
따라서 이 부분들이 네거티브에는 더 검게 나타난다. 그의 조끼나 다른 어두운 부분들은 그보다 적은 광선을 반사하기 있으므로 네거티브에는 밝게 나와서 은의 농도를 만든다.
특정 필름의 광선에 대한 반응을 그래프로 그리면 그 필름의 특성곡선(characteristic curve)이 된다.
이 곡선은 필름에 도달하는 광선의 양이 증가할수록 어느 정도로 은 농도가 증가하는가를 보여준다.
다음 페이지에 나와 있는 그래프들은 각 사진을 찍은 결과로 얻은 네거티브에 대한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네거티브의 농도는 필름에 도달하는 광선의 양에 정확히 비례해서 증가하지는 않는다.
아주 약한 광선이 비칠 때는 농도가 완만하게 증가한다.
(곡선의 아래 혹은 범위 부분)
중간 정도의 광선이 도달하는 부분에서는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곡선의 중간 직선적인 부분)
그리고 아주 많은 광선이 도달하는 부분에서는 다시 농도가 완만하게 상승, 그리고 천천히 증가한다. (곡선의 위 어깨 부분)
다시 말하면 직선을 이루는 부분에 해당하는 서로 구분되는 원래의 톤들이 최종 프린트에서도 그렇게 보인다는 것이다.
이 영역에서는 톤 구분이 용이하기 때문에 그 강도의 차이가 확실하게 프린트에 표현된다.
필름이 노출부족되어서 너무 적은 양의 광선을 받아들이면 톤들이 곡선의 발치쪽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는 은 농도가 조금 밖에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출이 상당히 부족하면 셔도우와 중간 톤들의 농도가 엷어져서 톤 구분이 뚜렷하지 않고, 디테일도 손실된다.
원래 정상적으로 받은 영역들, 전체 부분에 해당하는 톤들이 줄어들고 그 부분에서의 톤과 디테일이 잘 구별되지 않게 된다.
톤이 다시 반전되면 프린트에서도 그만큼 어둡게 나오게 된다.
필름이 과다노출되어 너무 많은 광선을 받아들이면 톤들이 곡선의 어깨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중간톤과 밝은 부분의 은 농도가 너무 짙어져 톤 구분이 어렵게 되고, 디테일은 다시 손실된다.
셔도우 부분만 구분할 수 있는 톤과 디테일이 나타날 것이고 프린트는 너무 밝게 나올 것이다.
네거티브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출 뿐만이 아니다.
사용하는 현상액, 현상시간, 온도, 교반 등도 농도에 영향을 준다.
원래 광원에서 밝은 부분은 특히 농도가 낮고, 사진기술자들은 존 시스템(Zone System)을 이용해서 노출과 현상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농도를 컨트롤한다.
프린트를 하는 과정에서 주 입력은 노출일 수는 있다.
그러나 아주 명백하거나 극단적인 톤 구분이 존재하는 튼튼한 네거티브를 만들기 위해서는 풍부하고 뚜렷한 결과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사진학(Photogra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름 이야기 (2)흑백필름, 적외선필름 (2) | 2025.04.16 |
---|---|
필름의 용도와 사용 (0) | 2024.12.10 |
필름의 선택과 사용 (0) | 2024.12.08 |
접사 촬영에서의 노출, 렌즈를 구입할 때 주의점 (0) | 2024.12.02 |
접사 (0) | 2024.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