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학(Photography)20 접사 촬영에서의 노출, 렌즈를 구입할 때 주의점 3. 접사 촬영에서의 노출정확한 접사 노출을 위해서는 우선 노출 측정값이 정확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 렌즈가 필름에서 정상보다 더 연장되어 있거나, 노출시간이 약 1초 이상이 될 때는 그 측정값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일반적으로 접사의 대상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노출측정이 어렵다.피사체가 너무 작아서 배경이 더 많이 측정될 수도 있기 때문에 부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가능성이 있다. 그럴 때는 아주 작은 물체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스폿(spot) 측광이 한 가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그레이 카드를 가지고 대체측정을 할 수도 있고, 피사체를 비추는 광선을 측정하기 위해서 입사광식 노출계(incident-light meter)를 사용할 수도 있다.주름상자나 연장 튜브를 사용할 때는 노출을 증가시켜야 한다... 2024. 12. 2. 접사 1. 접사아주 가까이에 있는 피사체는 보통보다 더 가까이에서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작은 물체를 가지고 큰 이미지를 만들려면 가장 단순하게는 보통의 네거티브를 확대하면 될 것이다. 하지만 아주 크게 확대하면 화질이 나빠지기 때문에 언제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는 없을 것이다. 접사기법을 이용해서 처음부터 큰 이미지를 가진 네거티브를 얻는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접사용으로 만들어진 매크로렌즈(macro lens)를 사용하거나, 일반 렌즈 앞에 보조 렌즈를 달거나, 아니면 연장 튜브(extension tube)나 주름상자(bellows)를 렌즈와 카메라 사이에 끼워서 렌즈와 필름의 거리를 늘려주면 접사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줌 렌즈들도 매크로 기능이 있지만 진짜 매크로렌즈는 아니다. 이런.. 2024. 11. 29. 존 포커싱 1. 존 포커싱 피사계 심도를 조절하는 기법이 두 가지 더 있다. 존 포커싱 (zone focusing)과 과초점거리(hyperfocal distance)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그것이다. 이것을 이용하려면 피사계 심도 눈금이 있는 렌즈가 필요한데 고정초점 렌즈들은 그런 눈금이 있지만 줌 렌즈에는 없을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자동초점 카메라로도 적절한 조절을 할 수는 있지만, 보통은 수동으로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카메라가 필요하다. 존 포커싱을 이용하면 촬영을 하기 전에 피사계 심도를 정할 수 있다. 이것은 초점을 다시 맞추지 않고 신속하게 촬영을 하고 싶을 때와 정확하지는 않더라도 대충 언제 어디에서 액션이 발생할 것인지 예측할 수 있는 상황(예를 들어 거리에서 행인들을 찍을 때)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 2024. 11. 28. 초점과 피사계 심도 1. 초점과 피사계 심도선명도란 정확히 무엇이며, 어느 정도까지 조절이 될 수 있을까? 이론상으로 렌즈는 한 번에 하나의 거리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the plane of critical focus), 그 외의 다른 거리에 있는 물체들은 모두 그보다 덜 선명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가장 선명하게 초점이 맞은 면의 앞뒤로도 어느정도는 선명하다고 인정할 만큼 나오게 된다. 가장 선명하게 초점이 맞은 부분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물체들이 점차 조금씩 초점에서 벗어난다.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란 사진에서 선명하다고 받아들여질 만한 영역을 말한다. 어떤 장면에서 좁은 띠 모양의 일부분만 선명하게 보일 정도로 피사계 심도는 얕을 수도 있고, 바로 오른쪽 사진처럼 가까운 것에서.. 2024. 11. 27.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