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학(Photography)20 셔터 2. 셔터 필름에 도달하는 광선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셔터와 조리개 두 가지이다.사진이 너무 어둡거나 밝게 나오지 않게 하려면 이 둘을 정확하게 조절해야 한다. 셔터는 그것이 열려 있는 시간의 양을 두 배로 늘리면 한 "스톱(stop)" 더 밝은 노출, 즉 광선의 양이 두 배가 된다. 반대로 시간의 양을 반으로 줄이면 한 스톱 노출을 덜주는 것이 된다. 즉 광선의 양이 절반이 된다. 한 스톱 마다의 셔터 세팅은 그 다음 단계의 반이거나 두 배가 되고, 셔터가 열려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분수의 분모로 표시된다. 즉 1은 1/1초, 2는 1/2초, 4는 1/4... 이런 식으로 8, 15, 30, 60, 125, 250, 500을 지나 어떤 카메라는 8000 이상의 빠른 셔터 속도에까지 이.. 2024. 7. 14. 현대사진 (3) 현대사진 20세기 초에는 과학, 기술, 수학, 정치 그리고 예술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야수주의, 표현주의, 입체주의, 다다, 초현실주의 등의 운동들이 생겨서 "예술"이라는 말의 의미를 영구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미래파 예술운동은 "이미 시도된 모든 모티브와 주제를 예술의 장에서 쓸어낼 것, 과거에 대한 숭배를 파괴할 것, 어떤 형태의 모방도 철저히 모시할 것, 그리고 모든 형태의 독창성을 찬양할 것"을 제안했다. 급진적 예술, 디자인, 사과의 핵심에 바우하우스(Bauhaus)가 있었다. 바우하우스는 베를린에 있는 학교였는데 1922년에 헝가리 예술가인 라슬로 모호이 너지(Laszlo Moholy Nagy)가 거기에 부임하게 되었다. 그는 세상을 보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였고 19세기의 회화주.. 2024. 7. 13. 컬러사진 (2) 컬러사진 사진을 대중화시킨 대부분의 공은 조지 이스트만(George Eastman)에게 있다.그는 뉴욕주의 로체스터에서 은행원으로 시작해서 이스트만 코닥사를 설립, 미국 최고의 기업중 하나로 키웠다. 이스트만은 1877년 그의 첫 습판식 카메라를 구입했던 그날부터 더 간단하게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다. "사진을 찍는 데 엄청난 짐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롤필름을 실험했었지만 아무도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가 이스트만이 필름의 대량생산을 위한 장비를 발명하고 나서야 그것이 가능해졌다. 그 결과가 바로 얇은 젤라틴 유제를 발라놓은 롤종이인 이스트만 아메리카 필름이었다. 또한, 롤필름은 새로운 종류의 카메라를 가능하게 했다. .. 2024. 7. 10. 사진의 발명 1. 사진의 발명 예전에는 사진이란건 불가능하다고들 했었다.성공적인 사진 프로세스가 발명됐다는 최초의 공식발표에 대해서 독일의 유력한 출판물인 라이프치거 쉬타탄차이거(Leipziger Stadtanzeiger)는 "철저한 독일의 조사에 의해서 밝혀진 것처럼, 일시적인 반영을 포착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바램 자체도 잘못이다." 라고 큰소리를 내었다. 사진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인 광학적, 화학적 원리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확입돼 있었기 때문에 그런 불신을 갖는다는 것이 사실 놀라운 일이었다. 지금의 카메라 전신은 카메라 옵스큐라였다.적어도 아리스토텔레스 시대부터 작은 구멍을 통과한 광선이 상을 맺을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었다. 10세기의 아라비아 학자였던 알하젠(Alhazen)은 그 현상.. 2024. 7. 9. 이전 1 2 3 4 5 다음